가장 싸게 먹는 방법은, 초기 장비 투자비를 제외한 일반적인 수동 에스프레소를 도입하는 것이다.
하지만, 장기적인 장비 운영함에 있어서 원두 그라인딩 외 필터 막힘의 주기적인 청소와 탬핑 등 추가적인 절차를 하다 보면 간편하게 먹는 네스프레소나 돌체구스토등 캡슐커피의 간편함에 물든 우리에게 수동 에스프레소 장비는 어느새 중고 장터로 직행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 필자의 경우 3년정도 (브리엘 ES-62)운영하고 중고 장터로 보냈었다.
아무리 가성비 좋은 1회용 캡슐 커피라고 해도 기본적으로 500원 전후 로 가격이 책정되어 있더라…물론 테이크 아웃보다는 싸지만 원두 원료비에 비하면 싼가격이 아니다.
캡슐 커피보다 좀 더 가성비가 좋은 추출식 에스프레소 커피는 포드커피가 있는데 인터넷에 잘 찾아 보면 개 당 250원 정도의 패치를 구할 수 있다.
이것도 필자의 경우 싸게 마시는 느낌이 들지 않아서 (수전노의 기질이 있다.) 좀 더 코스트 비용이 들지 않는 방법을 찾아 보았다. 우선 다이소 물품으로 포드커피 추출하는 방법을 찾아 보도록 하자…
필자의 장비 중 왼쪽의 장비가 필립스 포드 커피머신이다. 오른쪽은 네스프레소 캡슐 커피장비이다. 여기서 우선 포드 커피머신에 대한 내용을 다룰 것이다.
아래그림을 참조 바란다. 우선 다이소에 있는 커피 용품 중 아래와 같은 스푼을 찾을 수 있을 것이며, 한스푼 원두 계량시 7g으로 맞추어 담을 수 있다.(파드 커피의 중량이 7~10g 이다.[나무위키 참조]) 다시백 소 를 구매하여 계량 커피를 채우고 아래 그림과 같이 다시백이 삐져나오지 않게 잘 구겨 넣는다.
참고로 키킨타올을 써도 문제 없이 추출된다. 하지만 식료품 재료와는 거리가 멀어서 추출 방법은 생략한다. 테스트와 머리속으로만 상상하세요…
추출시작…제법 크레마가 잘 올라온다. 파드 시스템 특성 상 크레마는 잘 올라온다.
얼음과 냉수를 적절히 배합해서 마시면 된다…
필자의 경우 네스프레소 리필캡슐과 호환캡슐을 적절히 활용한다.
네스프레소의 경우 약5g의 원두 분말이 투입된다. 그래서 2알을 추출한다.
필자가 추천하는 방법은 파드 커피로 1번에 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놈들은 당근으로 보낼까 번뇌가 스치려고 함…
1960년대 외국에서 사용했을 법한 빈티지 계산기를 가지게 되었다. 그 시대 우리나라에서는 주판을 사용했을 법한데, 최근 이베이와 같이 해외 중고 물품 경매 싸이트의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우리나라에도 이런 해외 유물들이 유입이 되기 시작한 것 같다.
타자기로 유명한 이탈리아 올리베티사에서 제작된 계산기이다.
인터넷을 뒤져보니 설명서가 나온다 네덜란드어로 작성이 되었다.
올리베티 eletrrosumma20 기종으로 전기식으로 구동이 되고, 이것보다 하위기종과(레버식 수동) 상위기종으로 좀 더 버튼이 많고 예쁘고 둥글게 생겼더라… 다수의 버전과 기종이 존재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글번역을 돌려보니 가감승(더하기, 빼기, 곱하기) 백분률 %활증?에 대한 더하기 빼기가 가능하다고 써있다. 직역 번역이고, 기능에 대한 공부를 하루 정도 하고나서야 더하기 빼기 곱하기가 가능해졌다. 요즘 계산기하고는 접근법이 약간 틀리더라…주산에서도 나누기가 가능한데 요놈은 나누기 기능은 없다.
adding machine을 영어사전으로 찾아보면 계산기(가산기)라고 나온다. 본질적으로 모든 공식은 더하기를 기반으로 접근을 한다.
계산기의 운용 접근방식을 살펴보면,
더하기는 20+20=40 이다. 빼기는 20+(-10)=10 라는 더하기 공식이 적용이 된다. 곱하기는 4283 x 34 = ? 승수(34)를 기준으로 42830(기존값 10을 곱한 값)을 3번 더하고 4283을 4번을 더한 값을 모두 더한 값이 답이다. (42830+42830+42830)+(4283+4283+4283+4283)=145622 이라는 더하기 공식이 적용된다.
전기적 디스플레이가 개발 되기 전 시절의 유물로 인쇄와 동시에 레코딩과 디스플레이가 동시에 진행이 된다.
아래 있는 계산기는 좀 더 오래된 기계식 계산기이다. 1930년대 독일에서 사용된 회전 로타리식 계산기이다. RESULTA-BS7라는 제품명으로 종이 레코딩이 아닌 수기 방식의 계산기로 위의 방식으로 계산을 하면 더하기 빼기 곱하기가 계산 가능하다. 버튼식 보다는 계산 속도가 느리고 입력 확인 카운터가 있고 계산 완료 카운터가 있어서 입력 전 오류 검출이 가능하다. 리셋 손잡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판을 튕기고 있을 시절 외국에서는 이렇게 기계식 탁상계산기가 사용 주류를 이루고 있었고, 나름 이런 유물에 관심이 많은 필자는 간단하게 리뷰를 써보았고 간혹 카페에서나 가계의 소품으로만 사용 되지 말고 빈티지 물건을 소유하신 분들의 실질 사용 개념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찾지도 않는 손님 더 오지 않을까봐 텔넷 포트 이동하지도 못하겠고…. 구글에서 아이피 who 검색으로 조금만 이상한게 검색 되면 무조건 차단….브라질 남미지역 등 나는 BBS 글자 호환도 그렇고 해서 우리나라 아이피만 접속되면 되니깐….
우선 접속 시도 해당 대역은 무조건 차단…172.217.31.170이면 172.217. 0.1~ 172.217. 255.255 해당 대역 모두 차단 이것도 아니면 좀 더 넓은 대역으로 차단 172.255.255.255까지…자기 동내 에서는 시도를 못하겠지…해외여행가서 시도하던가…돈이들면 시도를 안하겠지… 텔넷 말고도 다른 서비스 포트로도 무작위로 되지도 않는 아이디로 접속시도…
May 6 12:15:46 badamelong-bbs login[30218]: pam_securetty(login:auth): access denied: tty ‘/dev/pts/0’ is not secure ! May 6 12:15:46 badamelong-bbs login[30214]: FAILED LOGIN (2) on ‘/dev/pts/3’ FOR ‘root’, Authentication failure May 6 12:15:46 badamelong-bbs login[30211]: FAILED LOGIN (4) on ‘/dev/pts/2’ from
root@badamelong-bbs:~# netstat -net Active Internet connections (w/o servers)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User Inode tcp 0 0 192.168.0.181:139 192.168.0.181:44498 ESTABLISHED 0 42846 tcp 0 0 192.168.0.181:445 192.168.0.172:60055 ESTABLISHED 0 1458706 tcp 296 0 192.168.0.181:44498 192.168.0.181:139 ESTABLISHED 1000 42845 tcp6 0 0 192.168.0.181:23 58.71.204.118:16593 TIME_WAIT 0 0 tcp6 0 0 192.168.0.181:23 58.71.204.118:56122 ESTABLISHED 0 1488610 tcp6 0 0 192.168.0.181:23 192.168.0.1:60076 ESTABLISHED 0
처음보다 메뉴가 좀 더 늘었다. 게임과 부가서비스 메뉴 정도… 조금 그럴 듯 해보이네…서비스 질이 좋아야지…내가 생각하기에는 그냥 평점 정도….
테트리스와 옛날 도스에서 실행 할 수 있었던 니블스와 비슷한 NSNAKE 또 침략자? 인베이더라는 옛날 초딩학교 문방구에서 할 수 있었던 게임 등등 모두 텍스트 버전이다. 몇몇 게임은 에뮬레이터 화면의 호환성 환경을 타는 듣… 외계인침공 PACMAN 2가지 게임은 PUTTY등 유연성 있는 에뮬레이터로 접속해서 마우스로 터미널 칸을 넓혀주면 문제 없이 작동한다…
실행화면이다…외계인 침공은 좀 빡신듣…1초안에 피하지 못하면 폭파~!!! 팩맨은 여러분들 잘아는 팩맨과도 같다. 만드신분들 정말 대단한듣….C 입이 한쪽으로만…
테트리스와 달 분화구를 넘겨야하는 문버기이다. 유치하지만 재미있다.
부가서비스는 인터넷접속으로 Lynx 브라우저로 연동…w3m과 links중 그나마 작동이 유연하다. 모든 브라우저가 shell이 노출 된다…그나마 Lynx가 조금 덜 접근 된다. 조금만 접근기법을 알고 있다면 php나 cgi 스크립트 작성 저장 후 nobody권한으로 webshell 실행 기타 방법으로 rootkit 실행…root권한 실행 등등 별로 가져갈 것도 없지만…털린다. 물론 웹데몬 설치도 하지 않았지만 root권한으로 온갖 잡질을 해도 모르겠지요…되도록 잠자는 시간에는 웹서버는 꺼둡니다. 몇 번 털려 봐서… 모르면 설치를 하지 말아야지 해킹을 안당한다는…그래서!!! 운영자만 접근할 수 있게…양해를 구함~!
구글, 네이버, 다음을 접속… 텍스트 세상입니다…전화접속으로도 클라이언트측에서 별다른 TCP/IP 설치 없이 접속이 가능하다…비상시 급하게 주머니 속의 휴대폰으로 접속이 안될때 노트북으로 모뎀 전화선 연결 후 이야기를 실행해서 접속~!!! 지구가 망해도 이런 스토리는 일어나지 않겠지요? 네 그렇습니다. 그냥 이런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지요…ㅋ
이번에 새로 설치한 BBS 전람회 호스트 프로그램의 인터넷 텔넷 접속이 아닌 모뎀접속을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좀 더 현실적으로 추억의 감성을 공유하며, 느끼기를 위한 작업…
텔넷노드(공개) + 전화접속노드 1EA(아직 미공개: 내부 접속만 가능)
테스트환경
전화국 역활은 NAS에 설치 된 VOIP PBX : Asterisk 1.8.25.0 + SPA3102 (VOIP 전화선 게이트웨이)
BBS 서버 역활은 인텔 CPU N3350 프로세서 미니PC + 우분투 19.04 + 전람회 호스트 + mgetty + USB모뎀 + PAP2T (VOIP 전화선 게이트웨이)
PC통신 사용자 클라이언트 역활은 윈도우10 + 하이퍼터미널 + USB모뎀
윈10에서 구동되는 이야기 멀티와 새롬 데이타맨 98 IMF 버전에서는 USB 모뎀이 인식 되지 않아 결국 하이퍼터미널에서 테스트를 하였다.(역시 기본에 충실한 것이…)
USB모뎀 환경이라서 비프음을 들을 수 없지만 전화기로 접속해보면 비프음을 들을 수 있다…ㅎ
나의 컴퓨터방 전화기, 데이터 단자가 따로 있다. 옛날전화기 탈을 썻지만 나름 그로벌스틱하다. 인터넷 망만 있으면 외국에서도 서로 무료통화가 가능하다. (자가망 괌<->한국 직통 무료 및 국내 PSTN 국내 통화료로 통화 성공~ㅋ)
우선 mgetty… 모뎀접속을 통해서 login을 불러올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모뎀 인식부터 설치, 로그인, 과정을 살펴보면…(아래내용은 모두 root 권한으로 실행 실행한다.)
root@badamelong-bbs:~# lsusb (usb장치를 보기 위한 명령어) Bus 002 Device 001: ID 1d6b:0003 Linux Foundation 3.0 root hub Bus 001 Device 005: ID 0cf3:e300 Qualcomm Atheros Communications Bus 001 Device 003: ID 0572:1328 Conexant Systems (Rockwell), Inc. TrendNet TFM- 561 modem (팩스모뎀이 인식되었음을 확인) root@badamelong-bbs:~# modprobe usbserial vendor=0x0572 product=0x1328 (vendor, product ID를 이용해 아래와 같이 입력 후 모뎀 설치)
/etc/mgetty/mgetty.config(mgetty 활성화) port ttyACM0 #USB 포트 speed 38400 #모뎀접속 속도 9600 추천 클라이언트도 한방에 마찬가지 안정적인 접속 switchbd 19200 #이건 헤이즈모뎀에서만 적용 data-only yes #이건 데이터 접속일 때만 rings 2 # 2번 울리고 받기
여기서 부터 인터넷에 나도는 /etc/inittab 수정은 옛 날자료로 묻어두고 아래와 같이 디렉토리에 mgetty.service 파일을 만들어 저장한다.
부팅시 mgetty 서비스를 활성화 root@badamelong-bbs:~# systemctl enable mgetty.service
mgetty를 시작 root@badamelong-bbs:~# systemctl start mgetty.service
reboot 명령으로 재부팅 후 ps ax명령
19292 ? Ss 0:00 /sbin/mgetty /dev/ttyACM0 가 올라오면 설치 성공이다.
그리고 하이퍼 터미널로 접속…테스트결과 9600bps 이하 속도로 접속하면 매우 안정적인 속도로 접속할 수 있다.
내선번호 6008번으로…시도 38400bps로 접속 됨…issue.net 파일이 아직 데비안 접속 배너가 살아있습니다. 역시 우분투는 데이안에서 파생 된 리눅스..BBS환영 메세지만 추가수정 후 그냥 놔둡니다.
다시 조촐한 사설BBS 메인화면에서 자료실로 입장…
자료실에 오락이나 다운받을까??…ㅋㅋㅋ
아래한글1.2버전 361kb 명령어 dn(다운로드) 속도가 8510pbs 다운로드 시간 7분13초 옛날생각 나는군요…
이번에는 대화방 입장…ㅋ
같은 윈도우10에서 인터넷 텔넷 접속과 전화모뎀접속… 잘 되는군요…
시스템이 증설(?) 된 BBS 서버…ㅋㅋㅋ
아래 왼쪽 은색이 VOIP게이트웨이(PAP2T), 왼쪽 위의 검은 것은 나의 PC, 주황글자의 사각은 BBS서버 그 옆의 검고 길다란 녀석은 USB모뎀이다…
아래사진의 시계옆 하얀색 박스의 NAS 장비가 전화국 역활을 하는 Asterisk서버이다.
세월이 지난 이런 BBS에 누가 오겠냐 만은…나만의 공간을 넘어 추억을 공유하는 장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렇게 인터넷 텔넷 외, 1개의 전화노드가 추가 되었고… 세월이 지나 반응이 좋으면 요즘 기본요금도 작은데 전화번호를 하나 만들어서 전국적으로 공유를 해야지 되겠다.(어떻게? 홍보를 하지?)
여기에 올려놓은 텔넷 에뮬레이터인 PUTTY 또는 이야기멀티를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badamelong.iptime.org 로 텔넷(1000번 포트) 접속하여 로그인 창에 bbs 입력 후 엔터 guest 아이디로 접속 후 간단한 가입 절차 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