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S 전람회 호스트 전화 모뎀 접속 테스트

이번에 새로 설치한 BBS 전람회 호스트 프로그램의 인터넷 텔넷 접속이 아닌 모뎀접속을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좀 더 현실적으로 추억의 감성을 공유하며, 느끼기를 위한 작업…

텔넷노드(공개) + 전화접속노드 1EA(아직 미공개: 내부 접속만 가능)

  • 테스트환경

전화국 역활은 NAS에 설치 된 VOIP PBX : Asterisk 1.8.25.0 + SPA3102 (VOIP 전화선 게이트웨이)

BBS 서버 역활은 인텔 CPU N3350 프로세서 미니PC + 우분투 19.04 + 전람회 호스트 + mgetty + USB모뎀 + PAP2T (VOIP 전화선 게이트웨이)

PC통신 사용자 클라이언트 역활은 윈도우10 + 하이퍼터미널 + USB모뎀

윈10에서 구동되는 이야기 멀티와 새롬 데이타맨 98 IMF 버전에서는 USB 모뎀이 인식 되지 않아 결국 하이퍼터미널에서 테스트를 하였다.(역시 기본에 충실한 것이…)

USB모뎀 환경이라서 비프음을 들을 수 없지만 전화기로 접속해보면 비프음을 들을 수 있다…ㅎ

나의 컴퓨터방 전화기, 데이터 단자가 따로 있다. 옛날전화기 탈을 썻지만 나름 그로벌스틱하다. 인터넷 망만 있으면 외국에서도 서로 무료통화가 가능하다. (자가망 괌<->한국 직통 무료 및 국내 PSTN 국내 통화료로 통화 성공~ㅋ)

우선 mgetty… 모뎀접속을 통해서 login을 불러올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모뎀 인식부터 설치, 로그인, 과정을 살펴보면…(아래내용은 모두 root 권한으로 실행 실행한다.)

root@badamelong-bbs:~# lsusb (usb장치를 보기 위한 명령어)
Bus 002 Device 001: ID 1d6b:0003 Linux Foundation 3.0 root hub
Bus 001 Device 005: ID 0cf3:e300 Qualcomm Atheros Communications
Bus 001 Device 003: ID 0572:1328 Conexant Systems (Rockwell), Inc. TrendNet TFM-
561 modem (팩스모뎀이 인식되었음을 확인)
root@badamelong-bbs:~# modprobe usbserial vendor=0x0572 product=0x1328 (vendor, product ID를 이용해 아래와 같이 입력 후 모뎀 설치)

root@badamelong-bbs:~# dmesg | grep tty (모뎀설치 후 인식확인)
[ 0.173060] printk: console [tty0] enabled
[ 6.407684] cdc_acm 1-3:1.0: ttyACM0: USB ACM device(USB포트 확인)

/etc/mgetty/mgetty.config(mgetty 활성화)
port ttyACM0 #USB 포트
speed 38400 #모뎀접속 속도 9600 추천 클라이언트도 한방에 마찬가지 안정적인 접속
switchbd 19200 #이건 헤이즈모뎀에서만 적용
data-only yes #이건 데이터 접속일 때만
rings 2 # 2번 울리고 받기

여기서 부터 인터넷에 나도는 /etc/inittab 수정은 옛 날자료로 묻어두고 아래와 같이 디렉토리에 mgetty.service 파일을 만들어 저장한다.

/lib/systemd/system/mgetty.service
[Unit]
Description=External Modem
Documentation=man:mgetty(8)
Requires=systemd-udev-settle.service
After=systemd-udev-settle.service

[Service]
Type=simple
ExecStart=/sbin/mgetty /dev/ ttyACM0
Restart=always
PIDFile=/var/run/mgetty.pid. ttyACM0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부팅시 mgetty 서비스를 활성화
root@badamelong-bbs:~# systemctl enable mgetty.service

mgetty를 시작
root@badamelong-bbs:~# systemctl start mgetty.service

reboot 명령으로 재부팅 후 ps ax명령

19292 ? Ss 0:00 /sbin/mgetty /dev/ttyACM0 가 올라오면 설치 성공이다.

그리고 하이퍼 터미널로 접속…테스트결과 9600bps 이하 속도로 접속하면 매우 안정적인 속도로 접속할 수 있다.

내선번호 6008번으로…시도 38400bps로 접속 됨…issue.net 파일이 아직 데비안 접속 배너가 살아있습니다. 역시 우분투는 데이안에서 파생 된 리눅스..BBS환영 메세지만 추가수정 후 그냥 놔둡니다.

다시 조촐한 사설BBS 메인화면에서 자료실로 입장…

자료실에 오락이나 다운받을까??…ㅋㅋㅋ

아래한글1.2버전 361kb 명령어 dn(다운로드) 속도가 8510pbs 다운로드 시간 7분13초 옛날생각 나는군요…

이번에는 대화방 입장…ㅋ

같은 윈도우10에서 인터넷 텔넷 접속과 전화모뎀접속… 잘 되는군요…

시스템이 증설(?) 된 BBS 서버…ㅋㅋㅋ

아래 왼쪽 은색이 VOIP게이트웨이(PAP2T), 왼쪽 위의 검은 것은 나의 PC, 주황글자의 사각은 BBS서버 그 옆의 검고 길다란 녀석은 USB모뎀이다…

아래사진의 시계옆 하얀색 박스의 NAS 장비가 전화국 역활을 하는 Asterisk서버이다.

세월이 지난 이런 BBS에 누가 오겠냐 만은…나만의 공간을 넘어 추억을 공유하는 장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렇게 인터넷 텔넷 외, 1개의 전화노드가 추가 되었고… 세월이 지나 반응이 좋으면 요즘 기본요금도 작은데 전화번호를 하나 만들어서 전국적으로 공유를 해야지 되겠다.(어떻게? 홍보를 하지?)

추억의 PC통신 BBS 호스트 설치

20여년 만에 PC통신 BBS호스트를 설치해보았다.(telnet://badamelong.iptime.org:1000 으로 접속 가능)

응답하라1994 때 처럼 유년시설의 기억이 떠올라 본다. 전화비가 10만원이 넘게 나와 부모님께 야단맞은 기억이…

리눅스 계열 쪽에서는 비교적 설치가 쉽고 용이했던 전람회라는 호스트 프로그램이다. 이쪽방면 덕후들만 아는… 일반인에게는 조금 생소한 프로그램일지도 모른다.

예전 전람회 BBS 운영이후 가상 웹 BBS를 5년정도 운영해 봤지만 봇을 이용한 스팸성 글들이 넘쳐나 어떻게든 맊아보며 운영을 했지만, 결국 포기 하고 시간이지나고 다시 텔넷을 이용한 사설BBS를 개설을 마음먹게 되었다.(예전자료를 찾아보니 없다…ㅠㅠ)

가지고 있는 NAS 장비에서 구동을 해보려고 했지만 CPU 아키텍쳐 호환성 때문에 결국 인텔계열 CPU PC를 선택하여 분산운영을 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웹사이트는 하프타임 운영을 하지만, BBS는 24기간 운영을 할 것이다.

바로 아래 녀석이다. 손바닥 보다 작은, 인텔 CPU N3350 프로세서 사양이다.

여기 호스트 BBS 서버의 역활을 담당하고 있다. 예전 386SX나 DX에 비하면 메모리나 CPU클럭이 슈퍼컴을 넘어선다.ㅎ

64비트의 우분투 19.04 기반으로 20년이 넘은 32비트의 옛날 유닉스계열의 프로그램을 오랜만에 설치하자니 처음부터 맊히는 것이 한둘이 아니었지만, 겨우 이틀만에 설치를 완료했다.

요즘 리눅스는 설치가 너무나도 많이 간결하고 쉽게 설치 되지만, 보안으로 인해서 예전보다 서비스 설정이 많이 힘들어졌다.

조촐한 사설bbs 메인메뉴 이다.

여기에 올려놓은 텔넷 에뮬레이터인 PUTTY 또는 이야기멀티를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badamelong.iptime.org 로 텔넷(1000번 포트) 접속하여 로그인 창에 bbs 입력 후 엔터 guest 아이디로 접속 후 간단한 가입 절차 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접속하셔서 구경하시고 좋은글 많이 올려주세요~~